※보이싱 피싱 주의※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기타 기관 사칭: 자녀 사칭: 지인 사칭: 투자·대출 권유: 좀비폰(악성 앱 설치): 번호 변작/특수문자:
페이지 정보
본문
보이스피싱 사례는 크게 ▲기관 사칭형 ▲가족·지인 사칭형 ▲취업·재테크 사칭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관 사칭형으로는 검찰, 경찰, 은행, 카드사 등을 사칭하여 범죄 연루나 카드 연체를 이유로 개인정보나 금전을 요구하는 수법이 있고,
가족·지인 사칭형은 자녀나 지인을 사칭하여 돈을 빌려달라고 하거나 사고가 났다고 속여 금품을 편취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좀비폰'을 만들어 원격으로 스마트폰을 제어해 돈을 빼가는 신종 수법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
검찰/경찰 사칭:
범죄에 연루되었다며 계좌 압수, 정보 유출 등을 막아야 한다고 속이고 개인정보나 송금을 요구합니다.
금융기관/은행 사칭:
카드 연체, 카드 도용 등을 이유로 카드번호, 개인정보 입력을 유도하거나 대출을 미끼로 돈을 갈취합니다.
기타 기관 사칭:
법원, 우체국, 세관, 통신사 등을 사칭하며 가짜 등기 우편이나 납부 독촉 문자를 보내 금전·정보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가족·지인 사칭형 보이스피싱
자녀 사칭:
자녀가 사고를 당하거나, 해외에서 곤경에 처했다며 급하게 돈을 보내달라고 요구하는 방식입니다.
지인 사칭:
"급하게 돈이 필요한데, 잠시만 빌려주면 바로 갚겠다"는 식으로 접근하여 금품을 편취합니다.
취업·재테크 사칭형 보이스피싱
단기 아르바이트/재택근무:
영화·물품 홍보 글 작성 등 쉬운 재택 알바를 미끼로 개인정보를 빼내거나, 알바비를 주기 전 수수료 명목으로 돈을 요구합니다.
투자·대출 권유:
낮은 이율로 고수익을 보장하는 투자, 추가 대출 등을 제안하며 선입금 또는 개인정보를 요구하여 돈을 빼앗아 갑니다.
신종 수법
좀비폰(악성 앱 설치):
휴대전화에 악성 앱을 설치하게 유도해 전화번호, 금융정보를 탈취하고 스마트폰을 원격으로 조종하여 돈을 빼가는 수법입니다.
번호 변작/특수문자:
정상적인 전화번호처럼 보이도록 번호를 변조하거나, 낯선 특수문자가 포함된 문자를 보내 접속을 유도합니다.